"야나가와는 성을 세 번 돌고, 일곱 번 돌며 물이 흐르네. 꽃 피는 연꽃처럼."

야나가와에 왜 이렇게 많은 강이 흐르고 있을까요?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야나가와의 형성 과정을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지금 여러분이 서 있는 그곳은 과거에 바다였습니다. 그곳에 강이 실어 온 토사가 쌓이며 육지가 확장되었고, 일본에서 가장 넓은 갯벌이 형성되었습니다. 갯벌이란 바닷물이 썰물 때 육지처럼 드러나는 땅을 말합니다. 이런 습하고 축축한 지역에 약 2,000년 전, 사람들이 집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폭우가 내리고 강물이 불어나면 집이 떠내려가곤 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 땅에서 살 수 있을까 고민한 끝에, 사람들이 수로를 파서 나온 흙으로 둑을 쌓았습니다. 이렇게 해서 땅을 안정시키고 집을 짓거나 논을 만들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파낸 수로에 고인 물은 생활용수로 사용되어 더 편리한 생활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것이 수로의 역사의 시작이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러한 수로가 점점 늘어나 물길의 고향이 구축되었습니다. 그리고 전국시대가 되자 야나가와에 성이 세워지면서 성 아래의 수로와 성곽 수로가 정밀하게 정비되기 시작했습니다.
야나가와 성의 성주는 큰 강에서 일부 물을 끌어들여 마을 곳곳에 그물처럼 뻗어나가는 수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는 시행착오의 연속이었습니다. 수로의 물 흐름을 통제하는 데 실패해 홍수로 마을이 물에 잠기면, 문제의 원인이 된 수로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과정을 반복했습니다. 이러한 시행착오를 거듭한 끝에 정교한 기계처럼 촘촘히 얽힌 수로 네트워크가 완성되었고, 이 시스템은 생활용수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논밭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까지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까지 해야만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실 야나가와는 무려 6m에 달하는 일본에서 가장 조수 간만의 차가 큰 아리아케해에 접해있습니다. 따라서 만조가 되면 바닷물이 육지보다 높아집니다. 상상이 되시나요? 지금 여러분께서 서 있는 곳이 바다보다 낮은 땅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제방이 무너지면 바닷물이 한꺼번에 밀려들어올 것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 바다를 따라 튼튼한 제방이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또 하나의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상류에서 흘러내려오는 강물입니다. 보통 강물은 바다로 흘러 들어가지만, 이 지역은 육지가 바닷물보다 낮기 때문에 배수가 불가능합니다. 오히려 강물이 마을 안으로 점점 고이게 됩니다. 여기서 수로의 역할이 중요해졌습니다. 야나가와에 길게 펼쳐진 총 930km에 달하는 수로에 물을 가둬 비축합니다. 이렇게 하여 썰물이 될 때까지 시간을 벌이고, 다시금 바닷물이 육지보다 낮아지게 되면 바다로 물을 내보낼 수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수로가 필요했던 것입니다.
그렇게 400년 동안 이 수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로의 물을 마시며 살아왔던 야나가와 사람들. 하지만 쇼와 시대에 이르러 전대미문의 대홍수가 발생하면서 마을이 다시 물에 잠겼습니다. 이를 계기로 상류에 댐이 건설되고 수도가 정비되며 수도꼭지만 돌리면 물이 나오는 환경이 마련되었습니다. 이제 더는 수로에서 물을 길어올 필요가 없어진 사람들은 점차 수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고, 어느새 수로는 쓰레기장이 되어 오염이 심각해졌습니다.
결국 악취를 풍기게 된 수로를 폐쇄하자는 계획이 나오게 되었지만, 그때 “고향의 강에 맑은 물을 되찾자”고 외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시청의 한 직원으로, 100회가 넘는 간담회를 열며 주민들의 동의를 얻어갔습니다. 그 과정에서 핵심이 된 것은 “어릴 적 강에서 놀았던 경험”이었습니다. 수로가 깨끗했던 시절을 기억해낸 주민들은 그때의 풍경을 되살리고자 등 돌렸던 수로와 다시 마주하며 몇 년간 걸쳐 수로를 청소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되살아난 것이 바로 지금의 물의 도시, 야나가와입니다. 여러분께서 보시고 있는 야나가와의 풍경은 이러한 이야기를 거쳐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것입니다.
야나가와에는 왜 이렇게 많은 강이 흐르고 있을까요? 그 답은 지금까지의 이야기에 있습니다. 이제 곧 보게 될 뱃놀이 풍경을 통해, 수로에 대한 더 깊은 이야기를 탐구해 봅시다.

Next Contents

Select language